검색마이페이지
면접 질문 #179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함수의 정의와 예시를 설명해 주세요.

함수는 한 집합의 원소를 다른 집합의 원소에 대응시키는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f(x) = x^2는 입력값 x에 대해 그 제곱값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면접 질문 #179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분과 적분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미분은 함수의 변화율을 구하는 것이고, 적분은 함수의 면적을 구하는 것입니다.
미분은 함수의 기울기를 나타내고, 적분은 함수 아래의 영역을 나타냅니다.

면접 질문 #179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행렬의 정의와 예시를 들어 설명해 주세요.

행렬은 수나 기호를 직사각형 배열로 배열한 것으로, 주로 선형 방정식을 풀거나, 선형 변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2x2 행렬 A = [[1, 2], [3, 4]]가 있습니다.

면접 질문 #179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복소수의 정의와 예시를 들어 설명해 주세요.

복소수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성된 수로, 일반적으로 a + bi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a는 실수부, b는 허수부이며, i는 허수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3 + 4i는 복소수입니다.

면접 질문 #180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확률 이론에서 확률의 정의를 설명해 주세요.

확률은 특정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것으로,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확률은 사건의 수를 가능한 전체 사건의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면접 질문 #180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통계학에서 표본과 모집단의 차이를 설명해 주세요.

모집단은 연구에서 다루는 전체 집단을 의미하며, 표본은 그 모집단에서 일부를 뽑은 것을 의미합니다.
표본을 통해 모집단에 대한 추론을 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0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극한'의 개념을 설명해 주세요.

극한은 함수나 수열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x가 무한대로 갈 때, f(x)가 특정 값에 가까워지면, 그 값을 극한이라고 합니다.

면접 질문 #180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미분 방정식'이란 무엇인가요?

미분 방정식은 함수와 그 함수의 도함수(미분 값)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입니다.
물리학,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상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면접 질문 #180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부분 집합'의 개념을 설명해 주세요.

부분 집합은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도 포함되어 있을 때, A를 B의 부분 집합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 2}는 {1, 2, 3}의 부분 집합입니다.

면접 질문 #180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군'의 정의를 설명해 주세요.

군은 집합과 이 집합에서 정의된 연산이 특정 성질을 만족할 때, 이 집합을 군이라고 합니다.
군의 기본 성질은 항등원, 역원, 결합법칙, 연산의 닫힘입니다.

면접 질문 #180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함수'란 무엇인가요?

수학에서 '함수'는 각 원소에 대해 정확히 하나의 출력 원소를 대응시키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함수는 인풋과 아웃풋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도구입니다.

면접 질문 #180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미분'이란 어떤 개념을 가리키나요?

'미분'은 함수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어떤 함수의 입력값이 변할 때 함수 값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미분은 함수의 변화율을 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면접 질문 #180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방정식'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수학에서 '방정식'은 등식을 만족하는 미지수의 값을 찾는 과정이나 그 값을 나타내는 수식을 의미합니다.
방정식은 좌변과 우변이 같은 수식을 의미합니다.

면접 질문 #180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이란 무엇인가요?

함수의 최대값은 함수의 그래프가 어떤 구간에서 정의된 최대치를 가질 때 해당 값을 의미하며, 최소값은 함수의 그래프가 최소치를 가질 때 해당 값을 가리킵니다.

면접 질문 #181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인수분해'란 무엇인가요?

'인수분해'란 다항식 등을 인수(약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다항식의 계산이나 방정식 풀이 등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면접 질문 #181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행렬'이란 무엇인가요?

수학에서 '행렬'은 수나 기호를 직사각형 모양의 배열로 나타낸 것을 의미합니다.
선형 대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수의 집합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1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확률'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확률'은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특정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수치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확률은 통계학 등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면접 질문 #181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집합'은 무엇인가요?

수학에서 '집합'은 공통된 특성을 가진 객체들의 모임을 의미합니다.
집합론은 수학의 한 분야로, 집합의 연산이나 성질 등을 다룹니다.

면접 질문 #181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수열'이란 무엇인가요?

'수열'은 숫자들이 순서대로 배열된 나열을 의미합니다.
주어진 규칙에 따라 숫자들을 연이어 나열한 것으로, 수열은 수학적인 패턴이나 규칙을 발견하는 데 활용됩니다.

면접 질문 #181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삼각함수'란 무엇인가요?

'삼각함수'는 삼각비를 이용하여 각의 크기와 한 변의 길이를 연결지어 계산하는 함수를 말합니다.
주로 삼각형의 각과 변의 길이, 각의 크기 등을 다루는 데 사용됩니다.

면접 질문 #181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피보나치 수열은 무엇인가요?

피보나치 수열은 처음 두 항이 0과 1이며, 세 번째 항부터는 바로 앞의 두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입니다.
즉, 0, 1, 1, 2, 3, 5, 8, .
.
.
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1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무한등비급수란 무엇인가요?

무한등비급수는 첫 항이 a이고,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이 무한히 계속되는 급수를 의미합니다.
수렴할 때의 값을 구하는 등의 문제를 다루는 수학적 개념입니다.

면접 질문 #181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은 무엇인가요?

이차방정식 ax^2 + bx + c = 0의 근의 공식은 x = (-b ± √(b^2 - 4ac)) / 2a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의 근을 구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1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복소수의 곱셈법칙은 무엇인가요?

복소수 z = a + bi와 w = c + di의 곱셈은 (ac - bd) + (ad + bc)i로 계산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복소수 간의 곱셈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2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벡터의 내적과 외적은 무엇인가요?

벡터의 내적은 두 벡터의 길이에 두 벡터 사이의 각도의 코사인을 곱하여 얻는 스칼라 값입니다.
외적은 두 벡터로 만들어지는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나타내는 벡터 값입니다.

면접 질문 #182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적분학에서 부정적분과 정적분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부정적분은 미분의 반대 개념으로 원래 함수를 찾는 과정을 의미하며, 정적분은 구간 내 함수의 면적을 계산하는 과정입니다.
부정적분은 상수항을 포함하는 무한한 해가 존재할 수 있지만, 정적분은 특정 범위에서 면적을 가지는 유한한 값이 됩니다.

면접 질문 #182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유클리드 기하학과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유클리드 기하학은 평행선이 존재하고 평행선 위의 각도가 180도인 기하학이며,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평행선이 존재하지 않거나 평행선 위의 각도의 합이 180도가 아닌 기하학입니다.

면접 질문 #182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다항식의 나눗셈을 어떻게 수행하나요?

다항식의 나눗셈은 나눠지는 다항식을 나누기로 나누어 계산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다항식 나눗셈은 계수를 비교하고 적절한 연산을 통해 나눗셈을 수행합니다.

면접 질문 #182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인수분해의 개념은 무엇인가요?

인수분해는 수식을 소수나 인수로 나누어 나타내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다항식이나 방정식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곱셈을 역으로 수행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2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열과 급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수열은 일련의 숫자들의 나열을 말하며, 급수는 수열을 합한 값으로 수열의 합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수열은 항이 여러 개 모여 이루는 집합을 의미하고, 급수는 이 수열 항들의 합을 의미합니다.

면접 질문 #182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다항함수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다항함수는 다항식의 형태를 가지는 함수를 의미하며, 그래프가 부드럽고 연속적인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다항식의 변수를 함수로 대입한 형태를 다항함수라고 합니다.

면접 질문 #182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삼각함수'란 무엇인가요?

삼각함수는 직각삼각형의 각에 대한 비를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주로 사인, 코사인, 탄젠트 함수 등이 있으며 각 변의 길이 비율로 계산됩니다.

면접 질문 #182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함수의 역함수는 무엇인가요?

함수의 역함수는 해당 함수의 입력과 출력을 바꾸어 만들어지는 함수로, 기존 함수의 역관계를 나타냅니다.
역함수를 구할 때는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이 서로 일대일 대응이어야 합니다.

면접 질문 #182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무리수'의 개념은 무엇인가요?

무리수란 정수가 아닌 수 중에서 모든 유리수를 포함하고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가 무한히 이어지는 수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무리수로는 원주율 π와 자연로그의 밑인 'e'가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3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행렬의 덧셈과 뺄셈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행렬의 덧셈과 뺄셈은 같은 크기의 행렬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원소끼리 각각 더하거나 빼는 연산입니다.
덧셈과 뺄셈은 대응하는 원소끼리 짝을 지어서 계산되며 결과는 새로운 행렬을 형성합니다.

면접 질문 #183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삼각함수의 주기란 무엇인가요?

삼각함수의 주기는 그래프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반복되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주기는 주기함수가 2π인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사인과 코사인의 주기는 2π, 탄젠트의 주기는 π입니다.

면접 질문 #183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열과 급수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수열은 주어진 규칙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된 수의 집합을 의미하며, 급수는 수열의 각 항을 모두 더한 값을 나타냅니다.
수열은 개별적인 항을 표현하고, 급수는 수열의 항들을 모두 더한 값으로 수렴할 수도 발산할 수도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3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다항식의 인수분해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다항식의 인수분해는 주어진 다항식을 곱셈을 통해 최대한 단순한 수식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때 다항식의 인수를 찾는 것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인수분해를 통해 미지수를 포함하지 않는 상수항으로 만들어줍니다.

면접 질문 #183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적분학에서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부정적분은 미분의 반대 연산을 수행하여 원래 함수를 찾는 과정을 의미하며, 적분 상수가 포함됩니다.
정적분은 구간에 대한 함수의 면적을 계산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구간을 가지고 값을 계산합니다.

면접 질문 #183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푸리에 급수란 무엇인가요?

푸리에 급수는 주기적인 함수를 사인 함수와 코사인 함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임의의 주기함수를 삼각함수들의 합으로 근사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와 주파수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면접 질문 #183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복소수의 곱셈법칙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복소수의 곱셈법칙은 두 개의 복소수를 곱할 때, 각 항들끼리 곱한 뒤 실수부와 허수부를 각각 합하여 새로운 복소수를 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때 허수부의 제곱이 -1임을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면접 질문 #183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집합이란 무엇인가요?

수학에서 집합은 구별 가능한 객체의 모임으로, 하나 이상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집합은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면접 질문 #183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행렬은 어떤 경우에 사용되나요?

수학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행렬은 데이터나 수식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선형 대수학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면접 질문 #183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삼각함수란 무엇인가요?

삼각함수는 직각삼각형에서 각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로, 주로 삼각형의 각을 다루는 수학에서 사용됩니다.
주요 삼각함수에는 사인, 코사인, 탄젠트 등이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4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은 무엇인가요?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인 판별식을 이용하면 이차방정식의 근을 구할 수 있습니다.
판별식은 b^2 - 4ac로 정의되며, 근의 개수와 실근 또는 허근 여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4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확률론에서 조건부 확률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조건부 확률은 하나의 사건이 다른 사건이 발생할 조건 하에 일어날 확률을 의미합니다.
조건부확률 P(A|B) = P(A∩B) / P(B) 로 계산됩니다.

면접 질문 #184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분이란 무엇인가요?

미분은 함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함수 값의 작은 변화량이 입력 값의 변화량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합니다.
미분은 미적분학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면접 질문 #184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무엇인가요?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를 사용하여 나머지 변의 길이를 구하는 정리입니다.
a^2 + b^2 = c^2로 표현됩니다.

면접 질문 #184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열과 등차수열은 무엇인가요?

수열은 순서대로 배열된 수의 집합이며, 등차수열은 인접하는 두 항 사이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의미합니다.
등차수열은 일정한 규칙성을 갖는 중요한 수학적 구조입니다.

면접 질문 #184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소수점 이하 반올림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소수점 이하 반올림은 주어진 수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기준으로 반올림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된 값이 됩니다.

면접 질문 #184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유리수와 무리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유리수는 정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 또는 두 정수의 비율로 표현되는 수이며, 무리수는 정수 혹은 두 정수의 비율로 표현될 수 없는 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루트 2는 무리수입니다.

면접 질문 #184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원주율(pi)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원주율은 원의 둘레와 지름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로, 약 3.
14159로 표현됩니다.
수학 및 과학에서 다양한 공식에서 사용되며, 무리수이기도 합니다.

면접 질문 #184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삼각함수 중 사인 함수란 무엇인가요?

사인 함수는 직각삼각형에서의 특정 각에 대해 대변과 빗변의 비율을 나타내는 삼각함수입니다.
주어진 각에 대해 사인 값은 높이(대변)와 빗변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면접 질문 #184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행렬은 무엇이며 어떤 용도로 사용되나요?

행렬은 숫자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것으로, 선형대수학에서 다양한 수식과 계산을 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연립방정식이나 회전 변환 등 다양한 수학적 문제에 적용됩니다.

면접 질문 #185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로그 함수는 무엇을 나타내는 함수인가요?

로그 함수는 어떤 수를 다른 수의 거듭제곱으로 표현하는 함수입니다.
로그 함수는 지수 함수의 역함수이기도 하며, 다양한 영역에서 수학적 모형화나 데이터 처리에 활용됩니다.

면접 질문 #185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삼차방정식이란 무엇인가요?

삼차방정식은 변수가 세 제곱수로 이루어진 방정식으로, 최고차항의 차수가 3인 다항 방정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정식은 일반적으로 세 개의 실근 또는 복소근을 가집니다.

면접 질문 #185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콤보르트 규칙이란 무엇인가요?

콤보르트 규칙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를 고려하여 물건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순열과 조합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5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열과 급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수열은 순서대로 배열된 수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급수는 수열의 합을 나타내는 수학적 개념입니다.
수열은 항들의 나열이고, 급수는 수열의 항을 더한 값이 됩니다.

면접 질문 #185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피보나치 수열이란 무엇인가요?

피보나치 수열은 첫째 및 둘째 항이 1이며, 그 뒤의 항은 바로 앞 두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을 말합니다.
이 수열은 자연과학 및 컴퓨터과학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연구되고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5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평행선과 접선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평행선과 접선은 둘 다 직선이지만, 접선은 한 점에서 곡선에 닿는 직선을 의미합니다.
평행선은 서로 평행하면서 같은 평면 상에 놓인 직선을 말합니다.

면접 질문 #185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적분학에서 부정적분이란 무엇인가요?

부정적분은 미분한 결과로 주어진 함수를 찾는 연산을 의미합니다.
부정적분을 통해 원래 함수를 찾을 수 있으며, 미분의 반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5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함수'란 무엇인가요?

함수란 각각의 정의역 원소에 대해 정확히 하나의 공역 원소를 대응시키는 대응 관계를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면접 질문 #185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삼각함수 중 '사인' 함수는 어떻게 정의되나요?

사인 함수는 직각삼각형에서의 지수를 이용하여 정의됩니다.
주어진 각의 대변을 빗변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주로 삼각비를 통해 계산됩니다.

면접 질문 #185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적분학에서 '도함수'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도함수는 함수의 변화율이나 순간 변화율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주어진 함수의 기울기를 나타냅니다.
함수를 미분하여 얻어지는 새로운 함수를 도함수라고 합니다.

면접 질문 #186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행렬에서 행렬식이란 무엇인가요?

행렬식은 정방행렬에 대해 연산되는 값으로, 행렬의 성질과 정보를 나타냅니다.
행렬식의 크기가 0이 아니면 해당 행렬은 가역행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6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열에서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등차수열은 각 항이 공통 차이 값을 가지는 수열을 말하며, 등비수열은 각 항이 공통 비를 가지는 수열을 의미합니다.
등차수열은 공차를, 등비수열은 공비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6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해석기하학에서 '벡터'란 무엇인가요?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개념으로, 공간에서의 이동이나 힘, 속도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크기와 방향으로 정의되며 여러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6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복소수의 절댓값은 어떻게 정의되나요?

복소수의 절댓값은 해당 복소수와 원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됩니다.
복소평면에서 원점과 해당 복소수를 잇는 선분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면접 질문 #186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확률론에서 '조건부 확률'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조건부 확률은 어떤 조건 아래에서의 사건 발생 확률을 의미합니다.
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 다른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구하는데 사용됩니다.

면접 질문 #186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학에서 '극한'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해 주세요.

극한은 함수의 값이 특정 값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점에서 어떠한 규칙에 따라 다가가는 값을 극한값이라고 합니다.

면접 질문 #186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집합론에서 '데카르트 곱'의 개념을 설명해 주세요.

데카르트 곱은 두 집합의 원소를 순서쌍으로 결합한 새로운 집합을 말합니다.
두 집합 A와 B의 데카르트 곱은 {(a, b) | a∈A, b∈B}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6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열에서 등차수열과 비례수열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등차수열은 각 항이 일정한 차이를 가지는 수열이고, 비례수열은 각 항이 일정한 비를 가지는 수열입니다.
등차수열은 덧셈을 사용하여 항을 구하고, 비례수열은 곱셈을 사용하여 항을 구합니다.

면접 질문 #186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삼각함수에서 사인과 코사인의 정의는 무엇인가요?

삼각함수에서 사인은 대변/빗변, 코사인은 인접변/빗변을 나타내며, 직각삼각형에서 사용됩니다.
사인은 호도법에서도 사용되며, 코사인은 사인의 보초값입니다.

면접 질문 #186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함수의 역함수란 무엇인가요?

함수 f(x)와 f의 역함수 f^-1(x)은 f(f^-1(x)) = f^-1(f(x)) = x를 만족하는 함수 관계입니다.
역함수는 기존 함수의 입력과 출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면접 질문 #187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적분학에서 극한의 개념이란 무엇인가요?

미적분학에서 극한은 함수나 수열의 값이 특정 값에 '근접'하거나 '한없이 다가간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극한은 함수의 연속성, 미분가능성 등을 판단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면접 질문 #188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피타고라스의 정리란 무엇인가요?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를 a, b라고 할 때, 빗변인 c의 제곱이 a^2 + b^2와 같다는 정리를 말합니다.

면접 질문 #187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행렬의 전치와 역행렬의 개념은 무엇인가요?

행렬의 전치는 주어진 행렬의 행과 열을 서로 바꾼 것이고, 역행렬은 원래 행렬과 곱했을 때 항등행렬이 되는 역수 행렬입니다.
역행렬은 정사각행렬에 대해서만 정의됩니다.

면접 질문 #187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확률론에서 조건부확률이란 무엇인가요?

조건부확률은 한 사건이 일어날 때 다른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의미합니다.
주어진 조건 아래에서의 사건 발생 확률을 계산합니다.

면접 질문 #187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변수와 상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변수는 변할 수 있는 값으로 기호로 나타내며, 상수는 항상 일정한 값을 갖는 값으로 변하지 않습니다.
변수는 연산 과정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상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면접 질문 #187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복소수의 절댓값과 켤레복소수의 관계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복소수의 절댓값은 복소평면에서 원점으로부터 복소수까지의 거리이며, 켤레복소수는 허수부의 부호만 반대로 바뀐 수를 말합니다.
켤레복소수는 복소수와 곱연산을 했을 때 실수를 만듭니다.

면접 질문 #187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공간기하학에서 직선과 평면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공간기하학에서 한 평면 위의 한 직선은 교차점이거나 평행일 수 있습니다.
직선이 평면을 교차하면 점, 평행하면 없거나 무한개의 교점을 갖게 됩니다.
직선과 평면은 공간상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면접 질문 #187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통계학에서 평균과 중앙값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통계학에서 평균은 전체 데이터를 모두 더한 뒤 개수로 나눈 값으로, 이상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값으로, 이상치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면접 질문 #1877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분방정식에서 상미분방정식과 편미분방정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미분방정식에서 상미분방정식은 한 독립변수에 대해 미분의 차수가 최대 1인 식이고, 편미분방정식은 둘 이상의 독립변수에 대해 미분이 포함된 식입니다.
상미분방정식은 우리가 흔히 아는 미분방정식입니다.

면접 질문 #1878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함수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수학에서 함수란 각 원소에 대해 정확히 하나의 출력값이 대응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도구입니다.

면접 질문 #1879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삼각비란 무엇인가요?

삼각비란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 사이의 비를 의미합니다.
주로 삼각함수인 사인, 코사인, 탄젠트 등을 통해 표현됩니다.

면접 질문 #1880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이차방정식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이차방정식은 최고차항의 차수가 2인 방정식을 말합니다.
형태는 ax^2 + bx + c = 0으로 나타내며, 이차방정식의 해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면접 질문 #1881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수열과 급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수열은 주어진 규칙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된 수들의 집합을 말하며, 급수는 수열의 합을 나타냅니다.
수열은 순서적으로 나열된 값들이고, 급수는 그 값들을 합한 결과입니다.

면접 질문 #1882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확률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확률은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표현되며, 1에 가까울수록 발생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1883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미분의 개념을 설명해주세요.

미분은 함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도구로, 한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의미합니다.
함수의 기울기, 변화량 등을 측정하는 데 중요한 수학적 도구입니다.

면접 질문 #1884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행렬의 곱셈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행렬의 곱셈은 행렬의 대응하는 행과 열의 원소들을 곱해 새로운 행렬을 만드는 연산입니다.
두 행렬의 사이즈 조건을 만족해야 가능하며, 곱셈 결과의 크기는 곱하는 순서에 따라 달라집니다.

면접 질문 #1885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복소수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복소수는 a+bi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수를 말합니다.
여기서 a는 실수부, b는 허수부를 나타내며, i는 제곱해서 -1이 되는 허수단위입니다.

면접 질문 #1886
수학과 | 전공기초지식
Q. 최대값과 최소값을 찾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함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은 주어진 구간 또는 전체 정의역에서 함수의 극값을 찾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미분이나 이차도함수의 정보를 활용하여 구간 내 극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